울산대의대로고
home
프린트 아이콘

임상의학

세계 수준의 명문 의과대학으로 성장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수사진
  • 김문찬  KIM, MOON-CHAN
  • 학과의예과
  • 교실명가정의학
  • 직위교수
교수사진
  • 박혜순  PARK, HYE-SOON
  • 학과의학과
  • 교실명가정의학
  • 직위교수
교수사진
  • 선우성  SUNWOO, SUNG
  • 학과의학과
  • 교실명가정의학
  • 직위교수
교수사진
  • 손기영  Son, Ki Young
  • 학과의학과
  • 교실명가정의학
  • 직위교수
교수사진
  • 오미경  OH, MI-KYEONG
  • 학과의학과
  • 교실명가정의학
  • 직위교수
교수사진
  • 전영지  Jeon, Youngjee
  • 학과의학과
  • 교실명가정의학
  • 직위부교수
교수사진
  • 정태흠  JEONG, TAE-HEUM
  • 학과의예과
  • 교실명가정의학
  • 직위교수
교수사진
  • 조홍준  CHO, HONG-JUN
  • 학과의학과
  • 교실명가정의학
  • 직위교수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방사선종양학

교육이념

방사선의 인체 적용 원리를 이해하고 암환자의 치료 성적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방사선치료의 임상적 효용성을 체득하여 장래 암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의학자를 양성한다.

교실소개

방사선종양학은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으로 종양을 없애는 방사선치료를 학술적으로 연구하고 임상에 적용하는 분야이다. 방사선치료는 수술,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암치료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X선을 주로 이용하지만 동위원소 또는 입자치료도 함께 운용되고 있다. 현대적인 방사선치료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 (IMRT)가 치료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보조적인 치료법을 적용하여 종양 주위 정상조직의 손상은 최소화하면서도 치료효과를 높이는 고도의 정밀한 방사선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양성자나 중입자 등 파동인 X선 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 입자방사선치료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치료효과가 더 높은 중입자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방사선치료는 암 치료의 다양한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기부터 국소 진행병기까지는 단독 혹은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며, 수술 전후로 적용되어 종양의 완치율을 높이기도 한다. 전이된 종양이 통증, 출혈 등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 이를 완화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 고식적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방사선종양학 전문의는 방사선치료의 인체적용 원리와 효과를 가장 잘 이해하고 종양이나 환자 특성을 면밀하게 고려하여 최적의 치료 범위와 방사선량을 처방하고 방사선이 정밀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관리하며 치료에 수반한 다양한 증상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종합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에서는 최첨단 고정밀 방사선치료와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한 표면유도방사선치료 등 다양한 치료기법을 적용하여 교육과정에서 방대한 임상경험을 할 수 있으며, 방사선물리학과 방사선생물학의 연구과 교육을 동반하여 방사선치료의 원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고 있다. 세부적인 방사선종양학 연구도 다양하게 수행하고 있으며 학생의 연구참여 기회도 제공하고 있어서 미래 연구자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교수진

교실이미지

병리학

교육이념

인체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원인과 발생 과정에 나타나는 형태학적, 기능적 변화를 이해하는 의료인을 육성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기여 한다.

교실소개

병리학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과 발생 과정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정상적인 세포, 조직, 기관과 비교하여 질병에 걸린 세포, 조직과 기관에서의 형태학적,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여 궁극적으로 질병의 치료에 대한 이론적인 토대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병리학교실은 병리학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학생을 포함한 의료진에게 교육하고, 질병을 진단하며, 질병의 원인과 발생 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환자로부터 채취된 세포, 조직, 기관 등의 검체에 대한 육안검사, 광학현미경, 디지털병리영상,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변화를 분석하고, 세포 및 조직검사, 면역병리검사, 분자병리검사, 유전체검사, 부검 등 다양한 병리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환자가 앓고 있는 질병 대한 정확한 진단을 수행한다.

의과대학 및 대학원 학생, 인턴, 전공의, 전임의, 전문의 등 의료인에게 병리학에 대한 교육으로 질병에 대해 최종 진단을 내리고, 이를 근거로 질병의 치료에 기여한다. 병리학교실은 1989년에 개설되어,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병원, 강릉아산병원에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학생과 울산대학교 대학원생, 병리과와 임상 각과의 전공의, 전임의, 전문의들에게 병리학 총론과 각론을 포함한 다양한 병리 및 세부 병리 분야의 강좌를 개설하여 병리학과 관련된 이론 및 실습교육을 맡고 있다. 또한 질병의 원인과 발생과정을 형태학적으로 탐구하는 다양한 중개 연구를 수행하며, 임상의학과와 기초의학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 외과병리의 세부 분야에는 간병리, 골∙연부병리, 내분비병리, 담도∙췌장병리, 두경부병리, 림프망내계병리, 부인과병리, 비뇨기병리, 소아병리, 신경병리, 신장병리, 심장병리, 위장관병리, 유방병리, 일반병리, 주산기병리, 폐병리, 피부병리가 있고, 그 외에 특수 병리의 세부 분야에는 세포병리, 분자∙유전체병리, 동물병리, 비교병리, 독성병리, 디지털병리, 부검이 있다.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성형외과학

교육이념

성형외과학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환자의 신체 외부에 나타나는 선천성 기형 또는 후천성 변형이나 결손을 그 기능과 모양에 있어서 정상에 가깝게 교정 및 재건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교실소개

성형외과는 인체의 기형이나 변형을 수복하고 기능적 결손을 교정하며, 동시에 최근에는 미용성형수술이 전세계적으로 크게 각광 받으며, 많은 사람들의 자신감 회복과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성형외과학은 매우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는 학문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안면부 미용수술 뿐 아니라, 우리 몸 전체의 각종 변형을 원래의 모습에 가깝게 재건하고, 나아가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각종 시술을 통해 우리의 삶이 윤택해 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에서는 재건성형분야 및 미용성형수술 모든 분야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학계를 이끌고 있다. 또한 이러한 높은 수준의 의료를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외적인 모습의 회복을 통해 상처 받은 환자의 마음까지 치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교육과정에서도 다양한 임상케이스 및 여러 고난이도 수술을 통해 성형외과의사로서 배워야 할 기본적인 술기 및 소양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동물실험부터 임상연구를 포함하는 다양한 연구 활동과 교육을 통해 학생 실습과 연구참여의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영상의학

교육이념

영상의학교실은 의료계를 선도하는 소통능력, 윤리 의식, 창의력을 갖춘 유능한 영상의학과 의사 양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최신의 의료 영상 기술을 습득하여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판독 및 해석을 통해 질병 및 이상 소견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진단적 사고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다양한 의료진과의 협업을 통해 효율적인 진료 및 치료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와의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전문가로서의 윤리적인 행동과 환자 안전에 대한 책임을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는 데 필요한 전문성을 갖추도록 교육한다. 연구 및 학문적 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전문성을 높이고, 의학 지식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추구하고 있다.

교실소개

영상의학과는 현대사회의 청진기라고 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판독 및 진단을 하고 있다. 영상의학과는 X-선,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및 혈관조영술 등의 각종 검사를 이용해 내린 진단을 토대로 내과 및 외과 등에 대한 진료 자문 및 협진을 통해 최적의 진료에 이바지하고 있다. 또한 초음파 혹은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다양한 부위의 조직검사, 암에 대한 고주파 및 냉동치료술, 갑상선결절 소작술, 진공 보조 유방 생검술, 복부 및 사지 혈관질환의 비수술적 치료, 뇌혈관 질환의 비수술적 치료 등 다양한 시술을 시행하여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상의학과는 근골격, 복부, 비뇨생식, 소아, 신경두경부 및 갑상선, 유방, 응급, 인터벤션, 흉부심혈관영상의학의 세부 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부분야 별로 전문 인력에 의한 진료, 교육 및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영상의학과는 우수한 진료 및 연구실적으로 국내외적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연구방법론, 통계기법, 인공지능에 대한 다양한 자체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임상약리학

교육이념

임상약리학은 환자에 대한 약물 치료와 관련된 포괄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이다. 임상약리학은 약물반응의 개인간 차이를 반영한 최적의 약물요법을 연구하고 이를 진료에 적용할 수 있다. 계량약리학, 약물유전체학 등이 임상약리학의 학문 분야에 포함되며 이들 학문은 특정 질환이 아닌 다양한 질환에서의 약물 치료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계량약리학은 약동-약력학에 대한 모델링 분석의 한 분야로서, 약물 투여 후 나타나는 약동, 약력학적인 현상을 수학적인 언어로 기술 및 예측하는 BT-IT 융합 학문이자 data science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약개발 과정 중의 여러 단계 및 분야에서 대규모로 생성되는 자료를 통합하여 해석하고 유용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신약개발을 과학적이고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론이다. 임상약리학자는 주로 1상 임상시험 등의 초기 임상시험에 수행함으로써 신약 개발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다. 1상 임상시험의 특성상 비임상 및 임상 개발 단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갖춘, 신약개발에 있어서 주도적인 리더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BT와 IT를 포괄하는 종합적, 융합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최적의 약물 요법을 찾아서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BT 산업의 핵심인 신약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교실소개

1. 연혁
(1) 교실의 창설
임상약리학과는 2004년 9월 1일자로 배균섭 교수를 중심으로 서울아산병원 임상진료과로서 개설되어 시작되었으며, 울산의대 본 임상약리학교실은 2005년 3월 1일자로 시작되었다.
(2) 주요 교실사
2004년 9월 1일 서울아산병원 임상약리학과 및 2005년 3월 울산의대 임상약리학교실 개설 시 배균섭 교수가 병원 및 의과대학교에 조교수로 발령 받았다. 마취통증의학과의 노규정 부교수가 2004년 11월과 2007년 1월에 각각 서울아산병원 임상약리학과와 울산의대 임상약리학과에 겸직 발령 받았다. 2006년 3월에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의 김태원 부교수가 병원 임상약리학과에 겸직발령 받았으며, 2007년 3월에 임형석 교수가 병원과 의대에 조교수로 신규 임용되었다. 2007년 7월에 이동호 교수가 병원 임상약리학과와 마취통증의학과에 겸직 발령을 받으며, 2008년 10월에는 의대 임상약리학과에 겸직 발령 받았다.
2007년 3월부터 노규정 교수가 초대 임상약리학과 과장 및 임상약리학교실 주임교수를 역임하였으며 2011년 3월 배균섭 교수가 2대 과장 및 주임교수를 거쳐 2018년 3월부터는 임형석 교수가 3대 과장 및 주임교수로 발령 받았다. 2010년 4월 3일에는 의국이 서울아산병원 서관 6층으로 이전하였다.
본 교실 교수들의 대외 활동도 활발하여 2011년 9월부터 이동호 교수가 재단법인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Korea Drug Development Fund)의 초대 단장으로 3년을 역임하였고 2018년 8월 정년퇴임하기까지 국내 신약개발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현재 4명의 교수가 임용되어 임상약리학 각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2. 교육
(1) 학부 과정
2024년 현재 본과 4학년 교과과정으로 임상약동학 1시간, 임상시험의 이해 1시간, 약물유전체학과 개인별맞춤약물요법 1시간, 치료적 약물농도 모니터링 (Therapeutic Drug Monitoring) 1시간, 약물상호작용과 약물이상반응 1 시간, 신약개발의 이해 1시간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2) 대학원 과정
2005년 3월부터 개설된 대학원 과정 시작 이후 2008년 2월 3명의 석사과정 수료자와 2009년 2월 1명의 박사학위 수료자를 시작으로 현재 16명이 박사과정을 수료 하였고 (의과학 과정 4명 포함), 22명이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의과학 과정 10명 포함).

(3) 임상약리 수련
2005년 3월 서울아산병원 임상약리학과에 연수의 2명이 처음 입국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4명이 수련을 마치었으며, 2010년 첫 임상강사가 입국하여 현재까지 6명이 수련을 마치었다. 서울아산병원 임상약리학과에서 수련 받은 연수의 및 임상강사들은 타대학 병원 교수, 제약회사 이사 등으로 재직 중이다.

3. 진료 및 연구활동
임상약리학과는 진료 활동으로 서울아산병원 각 임상과의 약물요법에 관한 자문을 통해 환자에게 최적의 약물요법이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진료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1상 임상시험을 활발히 진행하여 신약 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여러 임상과와의 협력 연구 과정에서 임상연구에 대한 자문, 자료분석 및 임상시험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서울아산병원의 연구 수준을 높이는데 이바지 하고 있다.
임상약리학과의 각 교수들이 1상 임상시험, 계량약리학, 약물유전체학 등의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교수진

교실이미지

재활의학

교육이념

재활의학과는 신체의 장애가 있는 개인의 기능적 능력과 삶의 질을 향상하고 회복하는 데 초점을 맞춘 의학으로, 환자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치료하는 학문이다. 재활의학의 목표는 환자가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독립성과 참여를 극대화하는 것으로, 재활의학과 의사는 환자의 신체적인 제약 이외에도 정신적인 제약까지 이해하고 보살펴야 한다. 재활의학과 의사는 환자의 증상과 신체검진을 통하여 질환을 진단하고, 적절한 재활처방을 내리는 것에 대하여 익혀야 한다. 삶의 질 감소가 일어나는 재활의학과 환자의 증상은 다양하기 때문에 좋은 재활의학과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공부와 임상실습과 경험이 필요하다. 재활의학은 환자가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그 마지막을 담당하는 필수불가결한 의학이다.

교실소개

재활의학과교실은 중추신경계질환, 말초신경계질환, 암, 심장호흡질환 등과 같은 내과질환, 정형외과질환 등으로 인한 운동기능장애, 인지장애, 언어장애, 삼킴장애, 통증 등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의 제약이 발생하였을 때의 급성기 및 만성기 재활의학과적 진료를 담당하고 있다. 의과대학 학생 및 대학원생이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힘쓰고 있으며, 전공의 및 전임의에게 다양하고 훌륭한 교육을 제공하여 유능하고 도전적인 재활의학과 의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최신 기기를 접목한 선도적인 연구와 기초연구를 함께 시행하여 재활의학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진료와 연구, 교육은 환자에게 가장 좋은 결과를 제공한다는 목표 아래 유기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해외의학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또한 진행중이다. 뇌신경재활, 척수재활, 연하재활, 통증재활, 암재활, 중환자재활, 호흡재활, 심장재활, 신경근육질환재활, 소아재활 등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진료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환자의 진료 및 교육 연구의 성과를 높이고 있다.




교수진

교실이미지

정신건강의학

교육이념

정신건강의학과는 정신장애를 진단, 치료하는 의학의 한 분야로 정신장애를 다루는 것만이 아닌 인간의 정신건강을 증진시켜 행복한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분야이다. 소아, 청소년, 성인, 노인 등 삶의 전 과정에서 누구나 심리적인 고통을 겪을 수 있고 정신질환은 물론 인생의 문제를 상담하거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사회가 점차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사람들 간 갈등과 개인의 스트레스가 점차 커져가고 있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 우리는 몸의 건강을 걱정하는 것 만큼 정신적 건강을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이다.

교실소개

정신의학교실은 조현병, 조울병 등 중증 정신질환에서부터 우울증, 불안증, 불면증 등 신경증 장애, 스트레스, 통증, 중독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진료를 담당하고 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소아 청소년기 질환과 치매 및 인지기능저하 등 노년기 질환까지 진료의 영역이 매우 넓고 다양하다. 학생 및 전공의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여 유능하고 훌륭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양성에 힘쓰고 있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협업을 통해 우수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환자에게 제공되는 진료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정신보건센터와 연계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다. 전문분야 별 특수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환자 및 보호자의 특성에 맞춘 전문적이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치과학

교실소개

1. 연혁
본 교실은 1989년 병원 개설과 함께 창설되었고 김주환 교수, 치과교정과 문윤식 교수, 구강악안면외과 백승진교수와 민효기 전임의 선생과 우인희, 윤정태 수련의로 구성되어 치과학 교실로서의 첫발을 내디뎠다. 치과학 교실은 1990년 치과보철과 이정식 교수를 시작으로 뛰어난 교수진들의 영입과 수련의의 확보에 노력하였으며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장으로 삼고자 노력한 결과 1996년도에 이르러 김주환, 이정식, 문윤식, 김재승, 장현호, 이영규, 김용식 총 7명의 교수진과 12명의 수련의로 그 구성원이 확대 발전되었다.
구강악안면외과, 치과 교정과, 치과 보존과, 치과 보철과, 치주과의 총 5개의 진료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및 진료를 시행하여 왔으며 2001년 3월 전임강사로 있던 김병현 선생이 조교수로 임명되면서 치과학 교실에 5개과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확보된 인재들에게 양질의 교육과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자 2001년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내에 처음으로 치의학교실이 개설되었고 류성호, 강재현 선생의 입학으로 치의학 대학원이 출범하였다. 대학원생은 2024년 2 월 79명의 석사와 29명의 박사를 배출 하였다. 역대 주임교수로는 이정식교수, 문윤식 교수, 장현호 교수, 성상진 교수, 이부규 교수, 안강민 교수가 역임하였으며 2024년 현재 차현석교수가 주임교수로 재직중이다. 총 6개의 진료과가 임상진료를 하고 있으며 대학원에는 소아치과를 제외한 5개과에서 대학원생을 지도하고 있으며 앞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5개과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가나다 순).

(1) 구강악안면외과학 교실
1988년 백승진 교수(1989년 퇴직)로부터 시작된 구강악안면외과학 교실은 1990년 3월 김재승 교수의 발령으로 턱교정수술 분야와 임플란트에 관하여 활발한 임상진료와 연구를 본격화 하였다. 장현호 교수는 전임강사로 재직 하다가 1996년 조교수로 발령을 받았으며 1999년부터 2000년 까지 Canada Dalhousie University 연수 후 김재승교수의 퇴임(2001년) 후에도 턱교정수술 및 치과 임플란트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과 실적으로 아산병원의 위상을 드높이고 2004년 퇴직 후에도 치과학 교실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이부규 교수는 서울대학교 병원을 거쳐, 2000년부터 2002년 까지 독일의 Erlangen대학의 연수에서 얻은 임상적 경험과 연구성과를 가지고 2002년 임상전임강사를 거쳐 2003년 본 교실의 조교수로 임명되었다.현재 임상적으로는 골격성 부정교합, 악악면기형교정을 위한 턱교정 수술과 턱관절 질환, 인공관절재건술 분야에 있어서 국내 의료계를 선도하고 있으며특히 최근에는 줄기세포 이용한 턱관절 장애치료 임상연구를 세계 최초로 시도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어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기초분야로는 hTERT 구강암 표지자 연구 및 인공 점막재생 연구를 거쳐 2004년 부터 재생의학/조직공학 분야에 있어메디포스트 및 국내 유수의 공과대학들과 협력 연구를 통하여 Biomaterials(IF 7.88), Tissue Engineering (IF 4.54) 과 같은 재생의학/조직공학 분야 최고 수준의 저널에 하악골수 유래 줄기세포분리, 차세대 치조골 재생 차폐막, 3-D 생체 프린팅을 이용한 맞춤형 골재생등의 주제로 주저자로써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특히 2009년부터 2년간 재생의학/조직공학 분야에서 유명한 Wakeforest UniversityInstitute ofRegeneratie Medicine(WFIRM)에서의 연수를 통하여 인공 근-신경부 재생, 인공귀제작 등과 같은 새로운 분야로의 연구 폭을 넓히고, 의미있는 연구 성과를 상기 유수 저널에 발표함으로써 임상분야 외로도 본교실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2012년 부터는 서울아산병원 의공학 연구개발 센터의 의료재료 개발단장으로서 병원의 연구 분야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2011년 9월 부터 2018년 까지 본 치과학 교실의 주임교수를 역임하였다. 2024년부터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학회장에 취임하였다.

안강민 교수는 서울대학교 치과 병원의 3년간 전임의 과정을 거쳐, 2006년 1월 본 교실의 조교수로 임명되어 현재 교수로 재직 하고 있으며 구강암 수술 후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악안면 조직 재건술에 있어 국내 의료계를 선도하는 많은 임상적 학술적 업적을 쌓고 있으며, 2011년부터 2012년 까지 치과임플란트 분야를 선도하는 미국 남가주대학(USC) 치과대학으로 연수를 다녀와서 다수의 치과 임플란트 관련 논문을 해외 유수의 저널들에 발표하여 연구성과를 올리고 있다. 또한 난치성 임플란트 치료술에 대한 다양한 임상 및 기초 연구 업적을 기반으로 많은 국내외 강연에 초청을 받아 개원 치과의사들의 임플란트 의료 술식 증진에 많은 기여를 하며, 본 교실의 명성을 드높이고 있다. 최근 약물에 의한 턱뼈괴사 환자 치료에 집중 하고 있으며 다양한 질환에 발생하는 기전을 파악하고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다. 기초연구로는 신경도관과 viral vector를 이용한 gene transfection을 통한 말초 운동신경 재생 연구와 NGF, BDNF, CDNF 를 이용한 traction injury 말초 신경에 관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2018년 부터 2023년까지 본교실의 주임교수를 역임하였다.

이지호 교수는 2010년 3월부터 임상강사로 발령받고 구강 종양과 턱얼굴 외상 분야를 맡아 서울아산병원에서 근무를 시작하였다. 2014년 상하이 제9인민병원 구강악안면외과-두경부암 분과에 고난이도 구강암과 악안면재건 수술 분야로 연수를 다녀왔다. 2018년 3월 울산의대 치과학 교실 부교수로 발령 받았으며, 2019년 3D bioprinting 기술을 이용한 턱뼈 재건을 연구하기 위해 미국 Wakeforest University Institute of Regenerative Medicine (WFIRM) 으로 연수를 가서 2021년 3월 귀국하였다. 현재 이지호 교수는 구강암과 악안면재건 수술 분야의 전문가로서,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기획이사, 구강암 연구소 운영위원,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기획이사를 맡아 학회 활동을 하고 있다. 주 연구 분야는 생체조직 재건의 biocompatibility design, imaging AI 이다.

(2) 치과 교정학 교실
문윤식 교수 (일본명해대학 치학부 교정과 수련 및 박사, 2017년 퇴직)로부터 시작된 치과교정학교실은 현재 성상진 교수(2000년 임용)와 김윤지 교수(2020년 임용)가 담당하고 있으며, 활발한 임상 진료와 연구 및 전공의 교육에 힘쓰고 있다.
문윤식 교수의 번역서로는 “임상가를 위한 최신치과교정학”(1998년, 지성출판사), 턱관절증(2004, 나래출판사)이 있으며, 성상진 교수의 번역서로는 “임상교정생력학 및 심미전략”(2006년, 나래출판사), “최신디지털교정학(2021, 한국퀸테센스)”, “교정학의 3D 진단과 치료계획 (한국퀸테센스 2021)”가 있고 공동저술서로는 “다양한 mini-implant 교정치료-올바른 치료전략과 임상적용(2007년 지성출판사)”, “3차원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교정치료와 악교정 수술(2009 신흥인터내셔날)”,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체계적인 교정치료” (2021, 대한나래출판사)가 있다. 김윤지 교수의 공동저술서로는 “CBCT in Orthodontics: Indications, Insights and Innovations” (Wiley Blackwell, 2014), “Guidebook for the Insignia System - Effective and Efficient Orthodontic Treatment Using Fully Customized Fixed Appliance” (Dental Wisdom, 2020),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체계적인 교정치료” (2021, 대한나래출판사), “3D Printing in Oral Health Science” (Springer Nature, 2022)가 있고, 번역서로는 “최신디지털교정학”(2021, 한국퀸테센스), “교정학의 3D 진단과 치료계획” (한국퀸테센스 2021)가 있다.

성상진 교수의 연구분야는 유한요소분석 (Finite Element Method)을 위주로, 최근에는 교정적 치아이동에 진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를 하고 있다. 임상 전문 분야로는 Obstructive Sleep Apnea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과적 치료를 담당하며, 이비인후과, 신경과, 호흡기내과와 꾸준히 협진을 하고 있다. 김윤지 교수의 연구분야는 3차원 영상 분석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부정교합 자동 진단 시스템의 구축 및 퇴행성 턱관절 질환의 관련 유전 변이 연구, 구강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등 치과 난치성 만성 질환을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과 관련하여 활발하게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3) 치과보존학 교실
치과보존학 교실 창립을 주도한 김병현 교수가 조교수 재직 중 2004년 퇴직하였고, 서울대 박사학위 취득과 수련을 마친 김미리 교수는 임상강사 재직 후 2004년 울산의대 조교수에 임용이 되었으며 현재 치과 보존학 교실 교수로 재직중이다. 서울대 치대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University of North Carolina와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fellowship을 거친 고현정 교수, 서울대 치대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수련한 양원경 교수가 2006년 조교수에 임용되었다. 2024년 3월 현재 고현정 교수는 서울아산병원 보존과 임상 교수로 재직중이며, 양원경 교수는 일신상의 이유로 2015년 퇴직하였다. 김미리 교수는 2007년, 양원경 교수는 2011년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 방문교수로 1년간 재직하면서 연구에 힘을 쏟았고, 지금 현재 University of Pennsylvania 근관치료과와 활발한 연구 교류 활동을 하고 있다.
치과 보존학은 크게 근관치료학과 수복치료학으로 나뉘어 있으며, 본 교실에서는 치과보존학 최신 동향 연구와 후학 지도 활동에 임하고 있다. 주요 연구 활동으로는 MTA 시멘트와 new resin cement, endodontic sealer 의 독성 연구 등 치아를 살리는 근관 치료 재료에 대한 많은 논문을 SCIE 등재 학술지와 국내 저명 학술지에 게재하였고, 대한치과보존학회와 대한치과근관치료 학회에서 년 1회 이상의 구연 발표 및 연구 포스터 발표를 통하여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AAE, ESE 등 저명한 해외 연관 학회에도 매년 참가하여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내실있는 연구 수행을 위하여 보존학 전공의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매주 최신 저널 리뷰 세미나와 정기적인 과내 발표를 통해 임상적 능력과 연구 역량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4) 치과 보철학 교실
1990년 아산병원 치과학 교실에 부임한 이정식 교수는 치과 보철학 교실을 개설하였고, University of Geneva Dental School 등 외국 유수의 대학에서 쌓은 연구성과 및 임상경험을 토대로 본교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University of California 등지에서 연구 및 임상경험을 쌓고 1996년 전임강사대우로 입사한 김용식 교수는 보철학 교실을 확대, 발전시켰고 보철학 연구와 후진양성을 위해 힘썼으며 다수의 학회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2005년 부임한 백진 교수는 활발한 임상활동 및 교육, 연구 성과를 통하여 보철학교실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현재는 임상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6 년 부임한 이주희 교수는 서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이화여대 부속병원, 가톨릭대학 부속병원 등 국내 유수의 병원에서 쌓은 풍부한 연구 및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2006년 서울아산병원 및 울산의대 조교수로 입사하여 현재 교수에 이르기까지 후진양성 및 보철학 연구를 통하여 본 교실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가철성 보철학과 임플란트 보철학을 주 관심분야로 하여 임플란트 보철물의 디자인과 적합도 개선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차현석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치과학교실을 거쳐 2006년 아산병원의 보철과에 조교수로 임명되어 2015-2016년에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대학에서 디지털 덴쳐의 연수를 하였으며 현재 교수에 이르기까지 본 교실의 치과 대학원 및 전공의 교육에 주력하고 일반보철뿐 아니라 임플란트, 심미보철 및 특수틀니와 같은 전신 질환자를 위한 고난이도 보철을 주 진료분야로 활발히 임상활동에 임하고 있다. 특히 치과 생체 재료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심미보철과 연관된 재료 및 임플란트 abutment connection system을 주 연구분야로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디지털 치과 진료의 전환을 위한 임상 및 연구에 매진하여 본 교실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5) 치주학 교실
1995년 이영규 교수로부터 시작된 치주과학교실은 이후 김원경 교수를 거쳐 김영성 교수, 김수환 교수가 재직하며 활발한 임상진료와 기초연구 및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그 동안 치주과학교실에서는 약물성 치은비대와 관련된 연구, 초음파 스케일러의 팁과 작업조건에 따른 삭제량의 변화에 대한 연구, 상악동 거상술과 임플란트 식립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의 재료에 따른 조직학적 양상의 비교 연구, 치성 기원 줄기세포를 이용한 골재생 연구, 임플란트의 생존률과 합병증에 관한 연구, 급진성치주염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를 찾아내기 위한 치주-유전체 연구 등을 시행하였다.
이영규 교수는 1995년 전임강사대우로 본 교실에 근무를 시작하였으며, 2001년 5월까지 조교수, 부교수로 재직하면서 많은 임상연구 및 교육을 담당하였다. 김원경 교수는 2002년 조교수대우로 부임해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조교수로 재직하면서 치주과학의 연구와 후진양성에 기여하였다. 특히 2006년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 1년간 장기연수 후 치주 임상 분야에서 당뇨병 센터와 연계된 당뇨-치주병 센터의 활동 등을 통해 당뇨를 포함하는 전신질환자의 진료에 있어 의과와의 협진을 강화하였다. 김영성 교수는 2009년, 김수환 교수는 2010년 조교수로 임용되어, 현재 교수로 재직하며 임상 진료 및 연구, 후진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
2010년부터 아산생명과학연구소 유전체연구단 내에 치주과학교실 연구실을 구축하였고 연구원 및 연구간호사를 채용하여 치주학 연구실로서 자리잡았으며, 치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여 세포주를 확보하고 이를 이용한 치주조직 재생공학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현재 치주질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임상연구와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신형 임플란트 개발 임상연구, 당뇨와 치주질환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

교실이미지


교수진